함수
def 함수명(인자): # 인자는 없어도 되고, 여러 개도 가능
명령어1
명령어2
return 반환값 # 반환값이 없을 경우 생략 가능
- 함수 호출 형식
- 함수명(전달값)
- 함수 호출 시
- 전달값이 함수 정의의 인자로 전달됨
- 제어의 흐름이 함수 정의로 이동
- 함수 반환 시
- 제어의 흐름이 함수 호출로 복귀
- 함수 호출의 결과가 반환값으로 바뀜
- 소수 출력 함수 사용예시
def isPrime(n):
if n == 1: return False # 1은 소수가 아님
for i in range(2, n):
if n % i == 0: return False # 2~n-1 사이에 약수가 있으면 소수가 아니다.
return True
cnt = 0
for i in range(1, 1000):
if isPrime(i) == True :
print('%3d ' % i, end='') # 소수 출력 (3칸확보)
cnt = cnt + 1
if cnt % 10 == 0: print() # 한 줄에 소수 10개 출력 후 줄바꾸기
기본 인자
파이썬에서는 함수의 인자가 기본값을 가질 수 있음
- 함수 정의 시 인자에 기본값 할당
- 기본 인자는 일반 인자 앞에 올 수 없음
- 기본 인자는 함수 호출 시 생략 가능
- 기본 인자에는 기본값이 자동으로 전달됨
- cf)print() 함수의 end 인자는 기본인자 (end=’\n’)
- 함수를 정의 하는 사람이 정하는 것
def order(num, pickle=True, onion=True): # True는 인자값 생략가능
print('버거 %d개 : 피클 %s, 양파 %s' %(num,pickle, onion))
order(1)
order(2, False)
order(2, False, False)
키워드 인자
파이썬에서는 함수 호출 시 인자의 이름과 전달 값 함께 사용 가능
- 키워드 인자는 함수의 전달 값 순서를 바꿀 수 있음
- 키워드 인자는 위치 인자 앞에 사용 불가능
- cf) print(i, end=””)
- 함수를 사용하는 사람이 인자의 순서를 정하는 것
def power(base, exp):
return base**exp # base가 밑이고, exp가 지수값
print(power(2,3))
print(power(exp=3, base=2))
파이썬 선택문
- if문
- if-else문
- 3가지 이상 케이스를 나열하는 중첩 선택문의 로직
- nested-if 로직
- else-if 로직
랜덤(readom) 모듈
- 임의의 수를 생성 → random(), randint(), randrange()
- 리스트/튜플의 원수 중 하나를 임의 선택 → choice()
- 리스트/튜플의 원소들을 무작위로 섞기 → shuffle()
수학(math) 모듈
- math 모듈 정의된 주요 함수와 상수 사용 예
카운터 루프 : for 문
- 파이썬 for문 형식
for 변수 in 시퀀스:
반복명령어
- 반복 회수가 명확할 때 사용 → 시퀀스의 크기만큼 반복
- 시퀀스 종류
- range(n) → 0에서 n-1 까지 각 숫자에 대해 반복
- ex) for i in range(10) : → i=0에서 i=9까지 10번 반복
- 리스트/튜플 → 리스트/튜플의 각 원소에 대해 반복
- ex) for i in [1, 2, 3, 4, 5] : → i=1에서 i=5까지 5번 반복
- 문자열 → 문자열의 각 문자에 대해 반복
- ex) for i in "Hello" : → i='H'에서 i='o'까지 5번 반복
- range(n) → 0에서 n-1 까지 각 숫자에 대해 반복
- range() 함수 형식
- range(start=0, stop, step=1) → 기본 인자가 설정됨
이벤트 루프 : while문
- 파이썬 while문 형식
while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인 동안 반복 반복명령어
- 반복 횟수가 불명확할 때 주로 사용
- while문 예시
i = 0 # 초기값
while i<10 # 조건식
print(i) # 출력 -> 0에서 9까지 10개의 정수 출력
i++ # 변경문
카운터 루프 : 반복횟수가 명확할때 사용
이벤트 루프 : 반복횟수가 불명확할때 사용
함수
def 함수명(인자): # 인자는 없어도 되고, 여러 개도 가능
명령어1
명령어2
return 반환값 # 반환값이 없을 경우 생략 가능
- 함수 호출 형식
- 함수명(전달값)
- 함수 호출 시
- 전달값이 함수 정의의 인자로 전달됨
- 제어의 흐름이 함수 정의로 이동
- 함수 반환 시
- 제어의 흐름이 함수 호출로 복귀
- 함수 호출의 결과가 반환값으로 바뀜
- 소수 출력 함수 사용예시
def isPrime(n):
if n == 1: return False # 1은 소수가 아님
for i in range(2, n):
if n % i == 0: return False # 2~n-1 사이에 약수가 있으면 소수가 아니다.
return True
cnt = 0
for i in range(1, 1000):
if isPrime(i) == True :
print('%3d ' % i, end='') # 소수 출력 (3칸확보)
cnt = cnt + 1
if cnt % 10 == 0: print() # 한 줄에 소수 10개 출력 후 줄바꾸기
기본 인자
파이썬에서는 함수의 인자가 기본값을 가질 수 있음
- 함수 정의 시 인자에 기본값 할당
- 기본 인자는 일반 인자 앞에 올 수 없음
- 기본 인자는 함수 호출 시 생략 가능
- 기본 인자에는 기본값이 자동으로 전달됨
- cf)print() 함수의 end 인자는 기본인자 (end=’\n’)
- 함수를 정의 하는 사람이 정하는 것
def order(num, pickle=True, onion=True): # True는 인자값 생략가능
print('버거 %d개 : 피클 %s, 양파 %s' %(num,pickle, onion))
order(1)
order(2, False)
order(2, False, False)
키워드 인자
파이썬에서는 함수 호출 시 인자의 이름과 전달 값 함께 사용 가능
- 키워드 인자는 함수의 전달 값 순서를 바꿀 수 있음
- 키워드 인자는 위치 인자 앞에 사용 불가능
- cf) print(i, end=””)
- 함수를 사용하는 사람이 인자의 순서를 정하는 것
def power(base, exp):
return base**exp # base가 밑이고, exp가 지수값
print(power(2,3))
print(power(exp=3, base=2))
파이썬 선택문
- if문
- if-else문
- 3가지 이상 케이스를 나열하는 중첩 선택문의 로직
- nested-if 로직
- else-if 로직
랜덤(readom) 모듈
- 임의의 수를 생성 → random(), randint(), randrange()
- 리스트/튜플의 원수 중 하나를 임의 선택 → choice()
- 리스트/튜플의 원소들을 무작위로 섞기 → shuffle()
수학(math) 모듈
- math 모듈 정의된 주요 함수와 상수 사용 예
카운터 루프 : for 문
- 파이썬 for문 형식
for 변수 in 시퀀스:
반복명령어
- 반복 회수가 명확할 때 사용 → 시퀀스의 크기만큼 반복
- 시퀀스 종류
- range(n) → 0에서 n-1 까지 각 숫자에 대해 반복
- ex) for i in range(10) : → i=0에서 i=9까지 10번 반복
- 리스트/튜플 → 리스트/튜플의 각 원소에 대해 반복
- ex) for i in [1, 2, 3, 4, 5] : → i=1에서 i=5까지 5번 반복
- 문자열 → 문자열의 각 문자에 대해 반복
- ex) for i in "Hello" : → i='H'에서 i='o'까지 5번 반복
- range(n) → 0에서 n-1 까지 각 숫자에 대해 반복
- range() 함수 형식
- range(start=0, stop, step=1) → 기본 인자가 설정됨
이벤트 루프 : while문
- 파이썬 while문 형식
while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인 동안 반복 반복명령어
- 반복 횟수가 불명확할 때 주로 사용
- while문 예시
i = 0 # 초기값
while i<10 # 조건식
print(i) # 출력 -> 0에서 9까지 10개의 정수 출력
i++ # 변경문
카운터 루프 : 반복횟수가 명확할때 사용
이벤트 루프 : 반복횟수가 불명확할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