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화면 출력 : print() 함수
- 수치 데이터(정수, 실수) 출력
- print(10, 3.14)
- 논리(bool) 데이터 출력
- print(True, False)
- 문자열 데이터 출력
- print(” hello python “)
- 객체 데이터 출력
- print(complex(1,2)) → (1+2j)
문자열 출력 시 참고사항
- 문자열 상수는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묶어 출력
- ex) print("hello python")
- 문자열 반복 출력
- ex) print("test"* 5) → test 문자열 5번 출력됨
- 문자열 + 문자열 → 두 문자열을 하나의 큰 문자열로 연결함
- 주의) 문자열 + 수치데이터 → 오류!
- 해결책) 문자열 + str(수치데이터) ex) print("test" + str(10)) → 문자열 “test10” 출력
- 주의) 문자열 + 객체 → 오류!
- 해결책) 문자열 + str(객체) ex) print('복소수' + str(complex(1,2)))
- 주의) 문자열 + 수치데이터 → 오류!
print() 함수 특징
- 가변 인자 : 함수 전달 값의 개수가 가변적
- 키워드 인자 : 함수 전달 값을 매개변수 이름과 같이 전달
- print(”hello”, end=””) → 자동 줄 바꿈 방지
- 기본 인자 : print(”hello”) == print(”hello”, end=”\n”)
파이썬 기본 자료형
-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논리형(bool)
- type() 함수를 사용하면 해당 데이터 자료형 반환
- print(type(’Hello’) → <class ‘str’>
파이썬 정수 표현 가능 범위
- 시스템의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정수 표현 가능
다른 자료형끼리 붙여서 출력하려면?
- str() , int(), float() 함수를 사용하여 형변환 시킬수 있다.
- str(100) + ‘원’ → ‘100원’
파이썬 입력
- input() 함수 : 콘솔 장치(키보드)로 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문자열로 반환
- int, float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 받은 값을 변환해주는 절차 필요로함
파이썬 산술 연산자
파이썬 비교 연산자
파이썬 논리 연산자
map(f, l) 함수
- 함수 f를 리스트 l의 각 원소에 적용
실습) 두 정수 입력 받아,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출력
- 예 : 두 정수 입력 : 1 2
- 산술 평균 = 1.5
- 기하 평균 = 1.414...
- 조화평균 = (2* a *b)/(a+b)
a, b = map(int, input('두 정수 입력').split())
print("산술 평균 = " , (a + b) / 2)
print("기하 평균 = " , (a * b) **(a / b)) # (a*b)**0.5 우선순위가 거듭제곱이 높아서 뒤로감
print("조화 평균 = " ,(2*a*b) / (a+b))
실습) 세자리 정수를 입력받아, 역순 출력
- 예) 세자리 정수 입력 : 123
- 역순 정수 = 321
test = int(input('세 자리 정수 입력 : '))
print('역순 정수 = ', test%10, (test//10)%10,(test//100)%10,sep='') # sep는 각 자리에 공백제거
실습) 년도를 입력받아, 날짜수 출력
조건) isLeap(y) 함수 만들어 사용
예 ) 년도 입력 2023 날짜수 = 365
윤년이면 366일 아니면 365일 윤년 조건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되면 안됨) 혹은 400의 배수
def isLeap(y:int) -> bool :
if (y % 4 == 0 and y % 100 != 0 or y % 400 == 0 ):
return True
return False
year = int(input('년도 입력 : '))
if (isLeap(year) == True):
print('날짜수 = 366')
else:
print('날짜수 = 365')
실습) 사칙연산 수식을 입력받아, 계산결과 출력
예 ) 수식 입력 : 1 + 2
결과 = 3
예) 수식 입력 : 1 / 2
결과 = 0.5
a, op, c = input('수식 입력 : ').split()
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el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el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el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파이썬 화면 출력 : print() 함수
- 수치 데이터(정수, 실수) 출력
- print(10, 3.14)
- 논리(bool) 데이터 출력
- print(True, False)
- 문자열 데이터 출력
- print(” hello python “)
- 객체 데이터 출력
- print(complex(1,2)) → (1+2j)
문자열 출력 시 참고사항
- 문자열 상수는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묶어 출력
- ex) print("hello python")
- 문자열 반복 출력
- ex) print("test"* 5) → test 문자열 5번 출력됨
- 문자열 + 문자열 → 두 문자열을 하나의 큰 문자열로 연결함
- 주의) 문자열 + 수치데이터 → 오류!
- 해결책) 문자열 + str(수치데이터) ex) print("test" + str(10)) → 문자열 “test10” 출력
- 주의) 문자열 + 객체 → 오류!
- 해결책) 문자열 + str(객체) ex) print('복소수' + str(complex(1,2)))
- 주의) 문자열 + 수치데이터 → 오류!
print() 함수 특징
- 가변 인자 : 함수 전달 값의 개수가 가변적
- 키워드 인자 : 함수 전달 값을 매개변수 이름과 같이 전달
- print(”hello”, end=””) → 자동 줄 바꿈 방지
- 기본 인자 : print(”hello”) == print(”hello”, end=”\n”)
파이썬 기본 자료형
-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논리형(bool)
- type() 함수를 사용하면 해당 데이터 자료형 반환
- print(type(’Hello’) → <class ‘str’>
파이썬 정수 표현 가능 범위
- 시스템의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정수 표현 가능
다른 자료형끼리 붙여서 출력하려면?
- str() , int(), float() 함수를 사용하여 형변환 시킬수 있다.
- str(100) + ‘원’ → ‘100원’
파이썬 입력
- input() 함수 : 콘솔 장치(키보드)로 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문자열로 반환
- int, float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 받은 값을 변환해주는 절차 필요로함
파이썬 산술 연산자
파이썬 비교 연산자
파이썬 논리 연산자
map(f, l) 함수
- 함수 f를 리스트 l의 각 원소에 적용
실습) 두 정수 입력 받아,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출력
- 예 : 두 정수 입력 : 1 2
- 산술 평균 = 1.5
- 기하 평균 = 1.414...
- 조화평균 = (2* a *b)/(a+b)
a, b = map(int, input('두 정수 입력').split())
print("산술 평균 = " , (a + b) / 2)
print("기하 평균 = " , (a * b) **(a / b)) # (a*b)**0.5 우선순위가 거듭제곱이 높아서 뒤로감
print("조화 평균 = " ,(2*a*b) / (a+b))
실습) 세자리 정수를 입력받아, 역순 출력
- 예) 세자리 정수 입력 : 123
- 역순 정수 = 321
test = int(input('세 자리 정수 입력 : '))
print('역순 정수 = ', test%10, (test//10)%10,(test//100)%10,sep='') # sep는 각 자리에 공백제거
실습) 년도를 입력받아, 날짜수 출력
조건) isLeap(y) 함수 만들어 사용
예 ) 년도 입력 2023 날짜수 = 365
윤년이면 366일 아니면 365일 윤년 조건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되면 안됨) 혹은 400의 배수
def isLeap(y:int) -> bool :
if (y % 4 == 0 and y % 100 != 0 or y % 400 == 0 ):
return True
return False
year = int(input('년도 입력 : '))
if (isLeap(year) == True):
print('날짜수 = 366')
else:
print('날짜수 = 365')
실습) 사칙연산 수식을 입력받아, 계산결과 출력
예 ) 수식 입력 : 1 + 2
결과 = 3
예) 수식 입력 : 1 / 2
결과 = 0.5
a, op, c = input('수식 입력 : ').split()
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el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el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
elif (op == '/'):
print('결과 = ', float(a)/floa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