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사랑하는 이유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데이터는 모든 기업의 심장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특히 대기업들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며, 빠르게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해야 합니다. 이런 이유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가 그들의 선택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기업들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선호하는 여러 가지 이유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1. 신뢰성과 안정성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신뢰성과 안정성으로 유명합니다. 마치 자동차의 엔진처럼, 한 번 작동하기 시작하면 신뢰를 주는 특성이 있습니다. 대기업들은 이 신뢰성을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합니다. 데이터베이스가 자주 다운되거나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는 기업의 운영에 큰 타격을 줄 수 있..
Spring과 SpringBoot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Java 개발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두 프레임워크인 Spring과 Spring Boot의 차이점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처음 듣는 사람들에게는 이 두 프레임워크가 단순히 이름만 비슷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른 목적과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둘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까요?Spring 프레임워크란?Spring은 2002년에 처음 출시된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프레임워크의 주된 목표는 자바와 관련된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Spring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합니다:IoC (Inversion of Con..
컴퓨터 메모리의 최적화: 16GB RAM 구성 시 8GB 두 개 vs 16GB 하나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의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구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16GB RAM을 구성할 때, 8GB RAM 두 개를 사용하는 것과 16GB RAM 한 개를 사용하는 것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AM의 역할RAM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쓸 수 있도록 도와주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적절한 용량의 RAM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6GB RAM의 필요성16GB의 RAM은 기본적인 용도로는 충분하지만, 고사양 게임, 비디오 편집, 가상 머신 등을 사용한다면 더 높은 용량이나 빠른 속도가 ..
2 - 게시판 CRUD 만들기 (작성)게시글 작성 - CRUD(CREATE)1 - 폼 데이터란?폼 데이터(form data) 태그에 실려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DTO(Data Transfer Object) 태그에 실어 보낸 데이터는 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음이 객체를 DTO(Data Transfer Object)라고 함 2 - 폼 데이터를 DTO로 받기입력 폼 만들기컨트롤러 만들기DTO 만들기폼 데이터를 DTO에 담기 1. 입력 폼 만들기 제목 내용 Submit 2. 컨트롤러 만들기@Controllerpublic class ArticleController { @GetMapping("/articles/n..
1 - 스프링부트 개요1. 스프링부트란?스프링 프레임워크대규모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시 개발환경을 제공해서 기능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함서버 성능, 안정성, 보안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제공하는 도구설정이 복잡 등 단점 → 스프링 부트 출시스프링 부트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개선한 것(개발 환경 설정 간소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내장 등)자바 웹 프로그램을 더욱 쉽고 빠르게 만들기 위해 개발된 도구원하는 기능을 찾아 조립하기만 하면 편리하게 자바 웹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음2. 스프링부트 개발 환경 설정1단계 : JDK 설치JDK(Java Development Kit): 자바 코드의 번역과 실행을 담당하는 자바 개발 도구2단계 : IDE 설치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
5 - 큐(Queue) 학습목표FIFO 방식으로 동작하는 큐의 개념을 이해한다.선형큐, 원형큐, 연결큐를 자바로 구현 할 수 있다.자바 Queue 클래스를 활용할 수 있다.데크(Deque) 자료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1. 큐(Queue) 개념큐는 대기 줄과 유사한 개념으로, 데이터의 제거는 항상 가장 앞에서 수행되고, 데이터의 삽입은 가장 뒤에서 수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큐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형태의 자료구조로 알려져 있다. 스택은 한 쪽 방향에서만 입출력이 발생한다.2. 큐 구현큐는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선형 큐, 원형 큐, 연결 큐로 구분된다.선형 큐(Linear Queue)선형 큐는 배열을 선형으로 사용하여 큐를 구현한다. 삽입을 반복하면 rear 위..
학습목표Kruskal 최소신장트리(MST)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Prim 최소신장트리(MST)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익스트라 최단경로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1.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 알고리즘트리 = 비선형 자료 구조트리는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밖에 표시가 안되는데 그래프는 다른 요소간의 관계도 표시할 수 있음 , 그래서 사이클이 만들어짐 이게 단점이 될 수도 있음 신장트리는 그래프에 최소한의 간선만 사용하여 전체 정점으로 연결하는 트리이다. 아래 그림에서 그래프 (b), (c), (d)는 그래프 (a)의 신장트리이다.연결을 하는데 간선을 최소로 하는 것최소 간선 : 노드 개수 - 1최소 간선을 사용하는 이유 : 오버헤드(비용)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학습목표정점, 간선, 경로, 차수 등 그래프 관련 용어를 이해한다.인접 행렬, 인접 리스트로 그래프를 표현할 수 있다.DFS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BFS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1. 그래프 개념그래프 정의그래프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로, 여러 개의 노드(node) 또는 정점(vertex)이 간선(edge)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로망, 지인 관계, 링크 관계, 프로세스와 자원 간의 관계 등을 그래프로 모델링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래프는 방향성과 순환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그래프로 나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그래프 구성요소그래프는 정점(Node, Vertex)과 간선(Edge) 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