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연산자, 수식
변수(variable)
데이터 값들이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
int i = 12;
int ← 변수의 타입
i ← 변수의 이름
12 ← 변수의 데이터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
변수 : 저장된 값의 변경이 가능한 공간
상수 : 저장된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공간
자료형(data type)
자료의 타입을 나타냅니다.
자료형은 기초형, 참조형으로 나누어집니다.
기초형 : 실제 값이 저장된다.
-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 : float, double
- 논리형 : boolean
- 문자형 : char
참조형 : 실제 객체를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 저장
- 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
- 더불어 String 형도 참조형 변수이다.
종류 | 타입 | 크기 | 범위 | 예시 |
---|---|---|---|---|
정수형 | byte | 1byte | -128 ~ 127 | 1, -128, 127 |
정수형 | short | 2byte | -32768 ~ 32767 | 1000, -32768, 32767 |
정수형 | int | 4byte | -2147483648 ~ 2147483647 | 1000000, -2147483648, 2147483647 |
정수형 | long | 8byte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10000000000, -9223372036854775808, 9223372036854775807 |
실수형 | float | 4byte | ±3.40282347E+38 | 3.1415926f, -3.1415926f |
실수형 | double | 8byte | ±1.7976931348623157E+308 | 3.14159265358979323846, -3.14159265358979323846 |
논리형 | boolean | 1byte | true, false | true, false |
문자형 | char | 2byte | 0 ~ 65535 | A', 'B', 'C' |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int i; // 변수 i 선언 , 초기화는 하지 않음
int y = 0; // 변수 y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int a, b, c = 0; // 변수 a, b, c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변수를 사용하려면 초기화 필요
변수 작명 규칙
변수의 이름은 식별자(identifier)의 일종
- 식별자는 유니코드 문자와 숫자의 조합(한글 가능!)
- 식별자의 첫 문자는 일반적으로 유니코드 문자
- 두 번째 문자부터는 문자, 숫자, _, $ 등이 가능하다.
-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된다.
- 식별자의 이름으로 키워드(keyword)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식별자의 관례
클래스명 : 각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한다.
변수명, 메소드명 : 소문자로 시작되어 2번째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한다.
상수 : 상수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작명한다.
상수 선언
예를 들어 원주율은 바뀌지 않는 값이기에 상수로써 선언을 해주는게 좋습니다.
final double PI = 3.14;
문자열 선언
자바에서는 문자열은 String 클래스로 제공된다.
문자열 변수를 선언 하려면 String 타입을 사용한다.
String s = "Hello World";
여기서 주의!
- 문자형 char 사용 시에는 ‘a’ 와 같이 홑따옴표 사용
- 문자열 String 사용 시에는 “Hello world” 와 같이 쌍따옴표 사용
변수, 연산자, 수식
변수(variable)
데이터 값들이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
int i = 12;
int ← 변수의 타입
i ← 변수의 이름
12 ← 변수의 데이터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
변수 : 저장된 값의 변경이 가능한 공간
상수 : 저장된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공간
자료형(data type)
자료의 타입을 나타냅니다.
자료형은 기초형, 참조형으로 나누어집니다.
기초형 : 실제 값이 저장된다.
-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 : float, double
- 논리형 : boolean
- 문자형 : char
참조형 : 실제 객체를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 저장
- 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
- 더불어 String 형도 참조형 변수이다.
종류 | 타입 | 크기 | 범위 | 예시 |
---|---|---|---|---|
정수형 | byte | 1byte | -128 ~ 127 | 1, -128, 127 |
정수형 | short | 2byte | -32768 ~ 32767 | 1000, -32768, 32767 |
정수형 | int | 4byte | -2147483648 ~ 2147483647 | 1000000, -2147483648, 2147483647 |
정수형 | long | 8byte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10000000000, -9223372036854775808, 9223372036854775807 |
실수형 | float | 4byte | ±3.40282347E+38 | 3.1415926f, -3.1415926f |
실수형 | double | 8byte | ±1.7976931348623157E+308 | 3.14159265358979323846, -3.14159265358979323846 |
논리형 | boolean | 1byte | true, false | true, false |
문자형 | char | 2byte | 0 ~ 65535 | A', 'B', 'C' |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int i; // 변수 i 선언 , 초기화는 하지 않음
int y = 0; // 변수 y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int a, b, c = 0; // 변수 a, b, c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변수를 사용하려면 초기화 필요
변수 작명 규칙
변수의 이름은 식별자(identifier)의 일종
- 식별자는 유니코드 문자와 숫자의 조합(한글 가능!)
- 식별자의 첫 문자는 일반적으로 유니코드 문자
- 두 번째 문자부터는 문자, 숫자, _, $ 등이 가능하다.
-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된다.
- 식별자의 이름으로 키워드(keyword)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식별자의 관례
클래스명 : 각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한다.
변수명, 메소드명 : 소문자로 시작되어 2번째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한다.
상수 : 상수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작명한다.
상수 선언
예를 들어 원주율은 바뀌지 않는 값이기에 상수로써 선언을 해주는게 좋습니다.
final double PI = 3.14;
문자열 선언
자바에서는 문자열은 String 클래스로 제공된다.
문자열 변수를 선언 하려면 String 타입을 사용한다.
String s = "Hello World";
여기서 주의!
- 문자형 char 사용 시에는 ‘a’ 와 같이 홑따옴표 사용
- 문자열 String 사용 시에는 “Hello world” 와 같이 쌍따옴표 사용